맨위로가기

산요 전기철도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요 전기철도 본선은 효고현 니시다이역에서 산요히메지역까지 54.7km 구간을 운행하는 철도 노선이다.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한신 전기철도 본선과 상호 직통 운행한다. 직통특급, 특급, S특급, 보통 등 4가지 열차 종별이 있으며, 각 종별에 따라 정차역이 다르다. 1910년 효고 전기 궤도에 의해 효고 - 스마 구간이 개통된 이후 여러 차례 연장 및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우노선
    우노선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역에서 우노역을 잇는 총 연장 32.8km의 서일본 여객철도 노선으로, 시코쿠와 혼슈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우노미나토선"이라는 브랜드명으로 특급, 쾌속, 보통, 관광 열차가 운행된다.
  • 191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게이후쿠 전기 철도
    게이후쿠 전기 철도는 교토전등의 철도 사업을 이어받아 설립된 사철로, 과거 넓은 노선망을 가졌으나 구조조정을 거쳐 현재는 아라시야마 본선과 기타노 선을 운영하며 이벤트 열차 운행 등 지역 관광과 연계한 경영을 하고 있다.
  • 효고현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효고현의 철도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 긴키 지방의 철도 노선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긴키 지방의 철도 노선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산요 전기철도 본선
지도
기본 정보
노선명산요 전기 철도 본선
원어명山陽電気鉄道本線
원어명 (언어)ja
노선색빨간색
로고Number prefix San-yo Railway line.svg
로고 크기40px
이미지SANYO 6008-6009F.jpg
이미지 크기300px
이미지 설명6000계에 의한 산요히메지행 직통특급 (2019년 8월 히가시스마 역 부근)
노선 종류통근 열차
소재지효고현
기점니시다이 역
종점산요히메지 역
역 수43
노선 기호SY
개업일1910년 3월 15일
전 구간 개통일1923년 8월 19일
소유자산요 전기 철도
운영자산요 전기 철도
사용 차량사용 차량 섹션 참조
노선 길이54.7 km
선로 수2
궤간1435 mm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최고 속도110 km/h
최소 곡선 반경160 m
차량 기지히가시스마 차량기지
히가시후타미 차량기지
시카마 차량기지
추가 정보
자동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산요 전기 철도형 ATS
기타
관련 노선산요 본선 (JR)
로마자 표기Sanyō Denki Tetsudō Honsen

2. 운행 형태

산요 전기 철도 본선은 보통열차와 우등열차가 함께 운행되는 복합적인 운행 형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전 구간 길이가 50km가 넘어 다른 사철에서는 보기 힘든 구간별 운행이 많다. 낮 시간에는 전 구간을 운행하는 특급과 보통 열차가 각각 시간당 4편씩 운행되는 규칙적인 패턴을 보인다. 단, 산요스마 역 이동 구간에서는 직통특급의 정차역 변화로 인해 보통 열차가 시간당 2편으로 줄고, 산요 본선 각 역에 정차하는 한신특급으로의 접속을 위해 약간의 운행 조정이 이루어진다.

우등열차는 주로 한신우메다 - 산요히메지 역 구간을 운행하는 직통특급이 중심이며, 모든 열차가 한신 전기 철도 본선으로 직통한다. 아침이나 심야에는 특급이나 S특급도 운행된다. 우등열차 중 직통특급과 (산요)특급은 6량 편성, S특급은 4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보통 열차는 4량 또는 3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보통열차는 고베 고속선(니시다이 - 한큐 산노미야·한신 모토마치)을 경유하여 한큐 방면으로는 한큐 산노미야까지, 한신 방면으로는 한신 산노미야까지 운행한다. 또한, 한신 전기 철도 차량도 직통특급 외에 스마우라코엔 역까지 운행되며, 한신에서 들어오는 열차는 직통특급을 제외하고 산노미야 역 서쪽의 고베 고속 철도산요 전기 철도 구간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1998년 2월까지는 산요 전기 철도 열차가 한큐 전철 고베 본선의 롯코 역까지, 한큐 전철 열차가 스마우라코엔 역까지 운행했으나, 한신 전기 철도와의 직통특급 운행 개시에 맞춰 중단되었다. 또한 보통이나 특급도 한신 오이시까지 운행했으나, 직통특급 운행 개시로 이 구간에서의 영업 운전은 폐지되었다. 다만 한신 산노미야 행 열차는 일부를 제외하고 오이시까지 회송되어 행선지를 바꾸는 운전(오리카에시, 折り返し일본어)이 이루어진다.

2009년 3월 20일 한신 난바 선 개통으로 고베 고속 철도를 포함한 한신, 한큐에 이어 긴테쓰도 이 구간에서 열차를 운행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산요 전기 철도 본선에 지연이 발생하면 한신, 한큐, 긴테쓰 열차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반대로 타사 노선에서 지연이 발생해도 산요 전기 철도 본선에 영향이 미치게 되었다. 이는 쇼난 신주쿠 라인을 포함한 광범위한 직통 운전을 하는 수도권 JR선이나 오사카 순환선에 직통하는 JR 교토 선이나 한와 선과 유사한 문제이다.

니시다이 역이 노선의 시발점으로, 모든 산요 전기 철도 열차는 이 역을 지나 고베 고속 철도 또는 한신 전기 철도 역들, 즉 한큐 고베 본선의 산노미야 역과 한신 전기 철도 본선의 산노미야 역(각 역의 보통열차)과 오사카의 한신 우메다 종착역에서 출발하거나 종착한다.

고베 고속 철도를 경유하여 한신 전기 철도 열차가 스마우라코엔 역까지 운행된다. 산요 전기 철도 본선에서는 모든 한신 전기 철도 열차가 모든 역에 정차하지만, 한신 전기 철도 본선에서는 보통열차와 급행열차로 운행된다.

고베아카시히메지 간의 도시 간 수송(도시 간 전철)을 하고 있다. 니시다이 역을 통과하는 모든 열차가 한신 고베 고속선에 직결되어 고베시의 중심역인 고베 산노미야 역이나 더 나아가 한신 본선에 직결되어 한신 오사카우메다 역에 이른다.[6][7]

전 구간에서 서일본 여객 철도(JR 서일본)의 산요 본선(JR 고베 선)과, 니시다이 역 - 이타야도 역 구간에서는 고베 시영 지하철니시신·야마테 선과 평행하게 달린다.[8] 마이코코엔 역 - 산요아카시 역 구간에서는 JR 고베 선과 완전히 평행하지만,[7][9] 노선이 있는 지역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영역이 나뉘어져 있다. 이타야도 역·아카시 역에서의 환승 이용도 많을 뿐 아니라, 역 간 간격이 짧아 JR선의 피더 수송(지선에서 간선으로 여객이나 화물을 수송하는 것) 역할도 담당하는 등, 직접적인 경쟁은 존재하지 않는다.

JR선과는 산요스마 역·산요시오야 역·산요타루미 역·마이코코엔 역·산요아카시 역·산요히메지 역에서 접속하고 있다. 산요히메지 역에서는 더 나아가 산요 신칸센과도 접속하고 있어, 간사이 지역의 사철에서는 드물게 신칸센과 접속하는 역이 되고 있다. 인신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JR선과 본선에서 전철 대체 수송을 실시한다.[9][10]

국토교통성에 신고된 노선명은 회사명이 붙지 않은 “본선”이다.

2. 1. 열차 종별

산요 전기철도 본선에는 여러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각 열차는 정차역과 운행 구간에 차이가 있다.

  • 보통: 각 역에 정차하며, 주로 한신 산노미야/한큐 산노미야 역과 산요히메지 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역 구내와 차내에서는 "보통차"라고 안내된다. 과거에는 산요히메지 역에서 아보시선 직통 운행도 있었다.[6]
  • 직통특급: 한신 우메다 - 산요히메지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로, 한신 전기 철도 본선과 산요 전기 철도 본선의 일부 역에만 정차한다. 하루 종일 운행되며, 산요 전철 내에서는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 특급 (산요 특급): 산요 전기 철도 본선 내에서는 직통특급과 정차역이 거의 같지만, 한신 전기 철도 본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주로 히가시후타미 - 산요히메지 구간에서 운행된다. 새벽 평일 하행과 심야 상행에 히가시후타미 - 산요히메지 구간을 한신 차량으로 운행하며, 새벽에 히가시후타미 발 산요히메지 행으로 3편 운행되며 이 중 1편은 산요 차량이 투입된다.
  • 특급 (한신 특급): 한신 오사카우메다 역 - 스마우라코엔 역(일부는 히가시스마 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본선 내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사실상 보통 열차의 대체 수단이며, 기본적으로 산요스마 역에서 산요히메지 역 - 산요스마 역 구간을 운행하는 보통 열차와 연결된다.
  • S특급: 직통특급이나 특급보다 정차역이 많은 열차로, 주로 아침과 심야 시간대에 운행된다. 실질적으로 다른 사철의 "급행"(또는 "준특급")에 해당한다. S특급의 "S"는 "'''S'''ervice", "'''S'''mart", "'''S'''peedy", "'''S'''hort" 등의 영어 단어의 머리글자에서 따온 것이다.
  • 휴지 및 과거 존재했던 종별:
  • 급행: 주요 촌락에만 정차했으나, 연선 도시화로 각 역 이용객 수 격차가 커지면서 1984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 직통: 1946년 전후 최초의 다이어 개정 때 설정되었다. 1948년 전 구간 가선 전압 통일 전까지 운행했고, 이후 급행으로 대체되어 폐지되었다.
  • 아침 러시 아워 시간대 특급/통근특급: 1961년 아침 러시 아워 시간대 상행 한정으로 운행되었으며, 1991년 다이어 개정에서 다카사고 행 특급과 통합되어 S특급이 되었다.
  • 다카사고 행 특급: 야간 하행 1편만 운행되었던 특급열차로, 1991년 S특급으로 통합되었다.
  • 한큐 고베 본선 직통 열차: 1968년 4월부터 1998년 2월까지 한큐 고베 본선과의 직통 운행이 이루어졌다.


역명한신[6]S[7]직특[6][7]특급[6]
니시다이
이타야도
히가시스마
쓰키미야마
스마데라
산요스마
스마우라코엔
산요시오야
다키노차야
히가시타루미
산요타루미
가스미가오카
마이코코엔
니시마이코
오쿠라다니
히토마루마에
산요아카시
니시신마치
하야시사키
마쓰에카이간
후지에
나카야기
에이가시마
니시에이가시마
산요우오즈미
히가시후타미
니시후타미
하리마초
베후
하마노미야
오노에노마쓰
다카사고
아라이
이호
산요소네
오시오
마토가타
야카
시라하마노미야
메가
시카마
가메야마
데가라
산요히메지
범례
colspan="6" |


2. 1. 1. 직통특급

한신 우메다 - 산요히메지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로, 한신 전기 철도 본선과 산요 전기 철도 본선의 일부 역에만 정차한다.[6][7] 하루 종일 운행되며, 산요 전철 내에서는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역명직통특급
니시다이
이타야도
히가시스마
쓰키미야마
스마데라
산요스마
스마우라코엔
산요시오야
다키노차야
히가시타루미
산요타루미
가스미가오카
마이코코엔
니시마이코
오쿠라다니
히토마루마에
산요아카시
니시신마치
하야시사키
마쓰에카이간
후지에
나카야기
에이가시마
니시에이가시마
산요우오즈미
히가시후타미
니시후타미
하리마초
베후
하마노미야
오노에노마쓰
다카사고
아라이
이호
산요소네
오시오
마토가타
야카
시라하마노미야
메가
시카마
가메야마
데가라
산요히메지


  • '''▲''' = 일부만 정차


5000계에 의한 오사카우메다행 직통특급(2021년 1월)

2. 1. 2. 특급 (산요 특급)

산요 전기 철도 본선 내에서는 직통특급과 정차역이 거의 같지만, 한신 전기 철도 본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주로 히가시후타미 - 산요히메지 구간에서 운행된다.[6]

산요 특급은 새벽 평일 하행과 심야 상행에 히가시후타미 - 산요히메지 구간을 한신 차량으로 운행한다. 2006년 10월 개정으로 폐지되었다가 2012년 3월 개정으로 부활했다. 매일 새벽에 히가시후타미 발 산요히메지 행으로 산요 특급이 3편 운행되며, 이 중 1편은 산요 차량이 투입된다.

1991년 4월 개정까지 야간에 한큐 산노미야 발 다카사고 행 특급(히가시후타미부터 각역정차)이 운행되었으나, S특급으로 통합되었다.

2009년 3월 20일 다이어 개정으로 직통특급과 특급이 쓰키미야마에 정차하게 되었고, 2016년 3월 19일 개정으로 산요 특급 운행은 히가시후타미 - 산요히메지 구간만 남게 되었다.

2025년 2월 22일 실시 예정인 다이어 개정으로 베후가 정차역이 되고, 평일 새벽에 니시다이 발 산요히메지 행 특급이 신설되어 히가시후타미 서쪽 구간 운행이 9년 만에 부활한다.[20]

1934년 9월 18일부터 1944년 4월 20일까지 특급이 운행되었으며, 당시 정차역은 나가타, 니시다이, 스마, 시오야, 다루미, 아카시, 니시신마치, 히가시후타미, 다카사고, 오시오, 시카마, 가메야마였다.

역명특급
니시다이
이타야도
히가시스마
쓰키미야마
스마데라
산요스마
스마우라코엔
산요시오야
다키노차야
히가시타루미
산요타루미
가스미가오카
마이코코엔
니시마이코
오쿠라다니
히토마루마에
산요아카시
니시신마치
하야시사키마쓰에카이간
후지에
나카야기
에이가시마
니시에이가시마
산요우오즈미
히가시후타미
니시후타미
하리마초
베후
하마노미야
오노에노마쓰
다카사고
아라이
이호
산요소네
오시오
마토가타
야카
시라하마노미야
메가
시카마
가메야마
데가라
산요히메지
범례
▲: 일부만 정차


2. 1. 3. 특급 (한신 특급)

한신 오사카우메다 역 - 스마우라코엔 역(일부는 히가시스마 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본선 내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사실상 보통 열차의 대체 수단이며, 기본적으로 산요스마 역에서 산요히메지 역 - 산요스마 역 구간을 운행하는 보통 열차와 연결된다.[6][7]

본선에 진입하는 한신 특급은 원칙적으로 한신 전차를 사용하지만, 직통 특급의 회차 운용상의 편의나 다이어가 크게 흐트러졌을 때 산요 전차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역 안내에서는 하행선은 산요 전철선 내에서는 “보통”으로 안내되지만, 상행선은 시발역부터 “특급”으로 안내된다.

2. 1. 4. S특급

직통특급이나 특급보다 정차역이 많은 열차로, 주로 아침과 심야 시간대에 운행된다. 하행은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 가스미가오카 역 출발 다카사고 역행, 심야에 한신 고베산노미야 역 출발(토·휴일 3편은 고속고베 역 출발) 히메지 역행이 운행된다. 상행은 아침과 저녁에 다카사고 역 출발 한신 고베산노미야 역행(토·휴일은 히가시후타미 역 출발 한큐 고베산노미야 역행도 운행)이 운행된다.[7]

1991년 4월 7일 다이어 개정으로 아침 러시아워 시간의 통근특급과 야간에 운행되던 히가시후타미 역~다카사고 역 간 각역에 정차하는 하행 다카사고행 특급을 통합하는 형태로 등장했다. 특급과 비교해 정차역 수의 차이가 크며, 실질적으로 다른 사철의 "급행"(또는 "준특급")에 해당한다.

S특급의 "S"는 "'''S'''ervice", "'''S'''mart", "'''S'''peedy", "'''S'''hort" 등의 영어 단어의 머리글자에서 따온 것으로, 일반 공모에 의해 붙여졌다.

정차역은 통근특급 시대와 같았지만 1998년 2월 개정으로 쓰키미야마 역이 추가되었다. 2006년 10월 개정으로 다카사고 행이었던 심야 하행 열차를 히메지 행으로 연장하고, 토·휴일 아침에 상행 열차도 신설하여 정차역에 니시다이 역을 추가했다. 2009년 3월 개정으로 한큐 산노미야 역 발착 열차를 일시 폐지했다. 2016년 3월 개정으로 산요스마 역행이 소멸하고, 토·휴일 상행 1편만 한큐 고베산노미야 역 도착이 재설정되었으며, 평일 산요히메지 역 발이 소멸함에 따라 다카사고 이서 지역은 하행만 운행하게 되었다. 2020년 3월 개정으로 평일 아침 하행과 평일 저녁 상행의 설정이 이루어졌다. 과거에는 오시오 시발 열차도 운행되었다. 2025년 2월 개정으로 평일 저녁 S특급이 산요히메지 역 시발이 되었다.[7]

토·휴일 히가시후타미 역 출발 열차를 제외하고, 아침 상행 열차는 다카사고 역에서 직통특급과 접속한 후 출발한다. 하행 열차는 모든 열차가 오시오 역에서 직통특급과 접속한다.

평일 아침 하행은 히가시스마 발 가스미가오카 행 보통열차로 운행된 후, 가스미가오카 역부터 다카사고 행 S특급으로 운행된다. 연속으로 승차도 가능하지만, 시간표상으로는 가스미가오카 역 시발로 되어 있다.

마이코코엔 역은 S특급이 통과하고 직통특급이 정차하기 때문에 엇갈린 정차가 된다.

역명S
니시다이
이타야도
쓰키미야마
산요스마
다키노차야
산요타루미
마이코코엔
산요아카시
후지에
히가시후타미
니시후타미
하리마초
베후
하마노미야
오노에노마쓰
다카사고
아라이
이호
산요소네
오시오
마토가타
야카
시라하마노미야
메가
시카마
가메야마
데가라
산요히메지
범례


2. 1. 5. 보통

각 역에 정차하며, 주로 한신 산노미야/한큐 산노미야 역과 산요히메지 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역 구내와 차내에서는 "보통차"라고 안내된다. 과거에는 산요히메지 역에서 아보시선 직통 운행도 있었다.[6]

평일 낮 시간대는 1시간에 산요스마 역 발착 2편, 한큐 고베산노미야 역 발착 2편이 번갈아 운행되며, 산요스마 역 - 산요히메지 역 구간에서는 15분 간격이다. 산요스마 역 시종착 열차는 이 역에서 스마우라코엔 역 회차의 한신 특급과 연락한다. 단, 토요일과 휴일의 일부 열차는 한신 고베산노미야 역 발착이 되어, 회차 편의상 오이시 역까지 회송된다.[6]

1998년까지는 한큐 로코 역까지, 2001년까지는 오이시 역까지 정기 운행했다. 아침・저녁에 고베 고속선 내 회차 열차로 고속고베・신카이치 발착 열차도 운행되며, 야간에는 상행이 신카이치 행, 하행이 고속고베 발이 주가 된다. 최근에는 3량 편성으로 운용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직통 특급 운행 개시 이전에는 니시나다 역을 통과하던 시기가 있었는데, 이는 산요 차량이 한신 보통용 차량(제트카(ジェットカー))에 비해 가속도가 낮아 통과역을 설정해 다이어 조정을 한 것이 이유였다.[6]

대부분 열차는 히가시후타미 역과 오시오 역에서 직통 특급(새벽・심야는 산요 특급)과 완급 접속한다. 낮에는 가스미가오카 역에서 직통 특급 통과 대기를 하며, 아침 저녁에는 산요스마 역, 산요아카시 역에서 직통 특급 대기 연결을 한다. 상행 S특급 운행 시간에는 산요아카시 역에서의 대피가 없어지지만, 산요스마 역, 후지에 역에서 S특급과 접속하고, 가스미가오카 역과 후지에 역에서 직통 특급 통과 대기를 한다.[6]

2016년 3월 17일까지, 심야 한신 오사카우메다 역 23시 20분 발 스마 행 한신 특급은 직통 특급용 산요 차량으로 운행되어, 고속고베에서 승무원 교대 시 방향막을 "'''보통・스마'''"로 변경하여 운행되었다. 산요스마 역 도착 후에는 히가시스마 역까지 회송되어 다음 날 아침 5시 18분 발 신카이치 행 보통 열차로 운행되었기 때문에, 유일하게 6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보통 열차이기도 했다(다이어 혼란 시에는 한신 차량 대차 운행도 있었다). 다음 날 18일부터 해당 열차는 한신 차량으로 변경되었고, 19일 다이어 개정 후에는 한신 고베산노미야 역 - 히가시스마 역・스마우라코엔 역 구간 열차가 "보통"으로 변경되었다. 이들은 급행계 차량([적동차(赤胴車)])의 6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2022년 12월 17일 다이어 개정으로 이 스마 행 한신 특급은 폐지되었다.[6]

그 외에도 히가시스마・산요스마・산요아카시・가스미가오카・히가시후타미・타카사고・카자리마 발착 열차도 설정되어 있다.[6]

2006년 10월 28일 다이어 개정으로 낮 시간대 한큐 산노미야 역 발착이 재개되었지만, 2009년 3월 20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낮 4편 중 2편과 토요일, 휴일 낮 시간대 일부가 산요스마 역 회차 운전이 되어, 낮에 고베 고속선 내까지 운전되는 열차는 한큐 산노미야 역 발착으로 한정되었다. 또 평일 저녁 러시 시간대 일부는 한신 우메다 발 특급(산요 전철 본선 내 각역 정차)의 스마우라코엔 행 또는 히가시스마 행으로 대체되었다(이는 한신 측 평일 저녁 러시 시간대 운전 간격을 12분에서 10분으로 변경하기 위함). 낮 산요스마 역・산요아카시 역 대피가 가스미가오카 역 통과 대기로 변경되었다. 이 다이어 개정으로 평일 하행 1편만 아카시 행 열차가 신설되었다(아카시 역 도착 후 히가시후타미 역까지 회송).[6]

일부 상행 열차는 히가시후타미 역에서 차량 교환을 한다. 2020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까지는 역 배포 시간표 해당 열차에 ※표시가 붙어 있었지만, 이 개정 이후 히가시후타미 행 보통차가 히가시후타미 발 상행 보통차에 접속하도록 안내되게 되었다.[6]

3000계에 의한 스마 행 보통(2021년 1월)


6000계에 의한 히메지 행 보통(2021년 6월)


한신 특급용 급행 계열 차량 회송을 겸해, 한신 고베산노미야 역 - 히가시스마 역・스마우라코엔 역 간에서 운행된다. 원래 이 열차는 한신 특급으로 운행되었지만, 사실상 전 구간 각 역에 정차했다. 2016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급행 계열 차량 행선막 정비 후 "보통"으로 통일되었다.[6]

보통 계열 차량을 사용해 한신 고베산노미야 역 이후부터 진입하는 한신 보통은 2006년 10월 28일 개정부터 2009년 3월 20일 개정까지 히가시스마 역 발착이 운행된 적이 있다.[6]

2. 1. 6. 휴지 및 과거 존재했던 종별

산요 전기철도 본선에서 과거에 운행되었거나 현재는 다른 종별로 통합된 열차 등급은 다음과 같다.

  • 급행: 주요 촌락에만 정차했으나, 연선 도시화로 각 역 이용객 수 격차가 커지면서 1984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마지막 정차역은 산요히메지, 시카마, 메가, 시라하마노미야, 오시오, 아라이, 다카사고, 벳푸, 히가시후타미, 후지에, 니시신마치, 산요아카시, 니시마이코, 산요타루미였으며, 산요스마 이동으로는 각 역에 정차했다. 종별 표시는 백지에 검은 글씨로 '=급='이었다.
  • 직통: 1946년 전후 최초의 다이어 개정 때 설정되었다. 1948년 전 구간 가선 전압 통일 전까지는 보통열차가 덴테쓰아카시-덴테쓰효고 구간을 운행했고, 아카시 이서부터 고베 방면으로 직통하는 종별이었다. 아카시 이서에서는 각 역에 정차했으나, 아카시 이동으로는 니시마이코, 덴테쓰타루미, 덴테쓰스마, 니시다이, 나가타에만 정차했다. 1948년 4월 다이어 개정에서 급행으로 대체되어 폐지되었다.
  • 아침 러시 아워 시간대 특급/통근특급: 1961년 아침 러시 아워 시간대 상행 한정으로 산요스마 이동 각 역에 정차하는 특급이 설정되었다. (현재 S특급과 유사) 운행 구간은 히가시후타미-덴테쓰효고 구간이었으며, 이후 한신오이시까지 연장되었다. 1984년 다이어 개정으로 한큐산노미야에 입선하는 형태로 변경되었고, 1987년 개정에서 통근특급으로 발전했다. 1991년 다이어 개정에서 다카사고 행 특급과 통합되어 S특급이 되었다.
  • 다카사고 행 특급: 야간 하행 1편만 운행되었던 특급열차로, 히가시후타미-다카사고 구간은 각역정차였다. 1991년 S특급으로 통합되었다.
  • 한큐 고베 본선 직통 열차: 1968년 4월부터 1998년 2월까지 한큐 고베 본선과의 직통 운행이 이루어졌다. 산요 전철선 내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했지만, 열차 종별 표시는 한큐 선 내의 종별 그대로였다. 1998년 2월 개정으로 한큐발 직통 운행은 중단되었다.

3. 역 목록

모든 역은 효고현에 위치하며, 각 열차 종별 정차역은 #운행 형태 문단을 참조한다.

역명일본어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누적 거리소재지
니시다이西代|니시다이일본어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0.0고베시
나가타구
이타야도板宿|이타야도일본어고베 시 교통국 지하철 세이신·야마테 선1.01.0스마구
히가시스마東須磨|히가시스마일본어0.81.8
쓰키미야마月見山|쓰키미야마일본어0.82.6
스마데라須磨寺|스마데라일본어0.73.3
산요스마山陽須磨|산요스마일본어JR 고베 선(스마역)0.43.7
스마우라코엔須磨浦公園|스마우라코엔일본어스마우라 로프웨이1.45.1
산요시오야山陽塩屋|산요시오야일본어JR 고베 선(시오야 역)1.76.8다루미구
다키노차야滝の茶屋|다키노차야일본어1.07.8
히가시타루미東垂水|히가시타루미일본어0.88.6
산요타루미山陽垂水|산요타루미일본어JR 고베 선(다루미 역)1.09.6
가스미가오카霞ヶ丘|가스미가오카일본어1.110.7
마이코코엔舞子公園|마이코코엔일본어JR 고베 선(마이코역)0.811.5
니시마이코西舞子|니시마이코일본어0.912.4
오쿠라다니大蔵谷|오쿠라다니일본어1.914.3아카시시
히토마루마에人丸前|히토마루마에일본어0.614.9
산요아카시山陽明石|산요아카시일본어JR 고베 선(아카시역)0.815.7
니시신마치西新町|니시신마치일본어1.216.9
하야시사키마쓰에카이간林崎松江海岸|하야시사키마쓰에카이간일본어1.518.4
후지에藤江|후지에일본어2.020.4
나카야기中八木|나카야기일본어1.421.8
에이가시마江井ヶ島|에이가시마일본어1.723.5
니시에이가시마西江井ヶ島|니시에이가시마일본어1.424.9
산요우오즈미山陽魚住|산요우오즈미일본어0.725.6
히가시후타미東二見|히가시후타미일본어1.727.3
니시후타미西二見|니시후타미일본어1.328.6
하리마초播磨町|하리마초일본어1.329.9가코군 하리마정
베후別府|베후일본어2.332.2가코가와시
하마노미야浜の宮|하마노미야일본어1.934.1
오노에노마쓰尾上の松|오노에노마쓰일본어1.435.5
다카사고高砂|다카사고일본어1.837.3다카사고시
아라이荒井|아라이일본어1.238.5
이호伊保|이호일본어1.239.7
산요소네山陽曽根|산요소네일본어1.641.3
오시오大塩|오시오일본어1.542.8히메지시
마토가타的形|마토가타일본어1.444.2
야카八家|야카일본어2.046.2
시라하마노미야白浜の宮|시라하마노미야일본어1.447.6
메가妻鹿|메가일본어1.449.0
시카마飾磨|시카마일본어산요 전기철도 아보시 선1.950.9
가메야마亀山|가메야마일본어1.452.3
데가라手柄|데가라일본어1.153.4
산요히메지山陽姫路|산요히메지일본어산요 신칸센·JR 고베 선·반탄 선·기신 선(히메지역)1.354.7


4. 역사

산요 전기철도 본선은 효고 전기 궤도와 고베히메지 전기 철도 두 회사에 의해 건설되었다. 효고 전기 궤도는 1910년 3월 15일 효고-스마(현재의 산요스마 역) 구간을 개통하였고,[1] 1917년에는 아카시까지 노선을 연장했다. 고베히메지 전기 철도는 1923년 8월 19일 아카시-히메지 구간을 개통했다.

1927년 두 회사는 우지가와 전기에 합병되었고, 1928년 효고-히메지 구간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그러나 효고 전기 궤도는 노면전차로 건설되어 가선 전압이 600V였던 반면, 고베히메지 전기 철도는 일반 철도로 건설되어 가선 전압이 1500V였고, 차체 규격도 달랐다. 우지가와 전기는 일본 최초의 복전압차를 도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 직통 운전을 실현했다.

1933년 우지가와 전기에서 산요 전기 철도가 분리되었다. 1948년에는 전 구간의 전압이 1500V로 통일되어 더욱 원활한 직통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1968년 4월 7일에는 고베 고속 철도를 경유하여 한신한큐와의 상호 직통 운전이 시작되면서, 노면전차 구간이었던 덴테쓰효고-니시다이 구간이 폐지되고 니시다이 역이 기점이 되었다. 1998년 2월 15일에는 한큐와의 상호 직통 운전이 중지되고, 한신우메다 - 산요히메지 구간을 잇는 직통특급 운전이 개시되었다.

2014년 4월 1일부터 산요 전기철도 노선에 역 번호가 도입되어 본선 역에는 SY01부터 SY43까지의 번호가 부여되었다.[2]

4. 1. 연표


  • 1910년 3월 15일 : 효고 전기 철도에 의해 효고 - 스마(현재의 산요스마 역)구간이 개통된다.[1]
  • 1912년 7월 11일 : 스마 - 이치노타니 구간이 개통된다.
  • 1913년 5월 11일 : 이치노타니 - 시오야(현재의 산요시오야 역)구간이 개통된다.
  • 1917년 4월 12일 : 시오야 - 아카시(아카시 항 근처에 있었다)구간이 개통되어 덴테쓰효고 - 아카시 전 구간이 개통된다. 오테 역을 스마히가시구치 역으로 개칭하고, 새로 이타야도 - 스마히가시구치 구간에 오테 역이 개업한다. 스마 역을 스마에키마에 역으로 개칭한다.
  • 1921년 - 1923년 : 다이카이도리 - 나가타 구간에 임시역으로 나가타진자마에 역이 개업한다. 매월 1일과 15일에만 열차가 정차했다. 폐지일은 알려지지 않았다.[41]
  • 1923년 8월 19일 : 고베히메지 전기 철도에 의해 아카시에키마에(현재의 산요아카시 역) - 히메지에키마에(현재의 산요히메지 역)구간이 개통된다.
  • 1924년 2월 : 다카사고마치 역을 덴테쓰타카사고 역으로, 소네초 역을 덴테쓰소네초 역으로, 시카마초 역을 덴테쓰시카마로 개칭한다.[41]
  • 1927년
  • * 1월 1일 : 우지가와 전기가 효고 전기 궤도를 합병한다.
  • * 4월 1일 : 우지가와 전기가 고베히메지 전기 철도를 합병한다.
  • * 12월 6일 : 구 고베히메지 전기 철도의 아카사에키마에 역을 구 효고 전기 궤도의 역과 통합한다.
  • 1928년
  • * 8월 26일 : 효고 - 히메지에키마에 구간에 직통 운전을 개시한다.
  • * 12월 8일 : 야마다(현재의 니시마이코 역) - 오쿠라다니 구간의 선로를 이설한다.
  • 1931년 12월 23일[41] : 오쿠라다니 - 아카시에키마에 - 니시신마치 구간을 신선으로 대체하고, 아카시에키마에 역을 구 고베히메지 전기 철도의 역 위치로 되돌려놓는다. 히토마루마에 역과 유엔지마에 역도 이전된다.
  • 1932년 12월 9일 : 히가시시오야 - 히가시타루미 구간의 선로를 이설한다. 쓰루모리즈카 - 시오야 구간의 히가시시오야 역을 폐지한다.
  • 1933년 6월 6일 : 우지가와 전기가 철궤도 사업을 산요 전기 철도에 분리 양도한다.
  • 1934년
  • * 9월 18일 : 특급 운행이 개시된다. 당시 특급 정차역은 효고·나가타·아카시·시카마·히메지였다.
  • * 12월 19일 : 아카시타카조마에 역이 개업한다.
  • 1935년 8월 1일 : 마이코 역을 마이코코엔 역으로, 야마다 역을 마이코 역으로 개칭한다.
  • 1937년 : 마이코 역을 니시마이코 역으로 개칭한다.
  • 1939년 12월 : 아카사에키마에 - 아카시 구간을 폐선한다.
  • 1941년 5월 3일 : 덴테쓰하야시자키 역이 개업한다.
  • 1943년 11월 20일[41] : 국철과의 연락역인 효고 역을 덴테쓰효고 역으로, 스마에키마에 역을 덴테쓰스마 역으로, 시오야 역을 덴테쓰시오야 역으로, 다루미 역을 덴테쓰타루미 역으로, 아카시에키마에 역을 덴테쓰아카시 역으로, 히메지에키마에 역을 덴테쓰히메지 역으로 개칭한다. 덴테스효고 - 나가타 구간의 다이카이도리 역, 이타야도 - 스마히가시구치 구간의 오테 역, 덴테쓰스마 - 쓰루모리즈카 구간의 이치노타니 역, 덴테쓰타루미 - 우타시키야마 구간의 고시키야마 역, 히토마루마에 - 덴테쓰아카시 구간의 유엔지마에 역을 휴지한다.
  • 1944년
  • * 4월 1일 : 스마히가시구치 역을 히가시스마 역으로, 에이가지마니시구치 역을 니시에이가지마 역으로, 벳푸키타구치 역을 덴테쓰벳푸 역으로, 가메야마고보 역을 덴테쓰가메야마 역으로 개칭한다.
  • * 4월 20일 : 특급 운행을 중지한다.
  • 1945년 7월 20일 : 이치노타니 - 덴테쓰시오야 구간의 쓰루모리즈카, 니시에이가지마 - 히가시후타미 구간의 우오즈미 역을 휴지한다.
  • 1946년 8월 3일 : 휴지 중인 이치노타니 역, 유엔지마에 역, 오테 역을 폐지한다.
  • 1947년
  • * 10월 1일 : 임시역으로 스마우라코엔역이 개업한다.
  • * 11월 15일 : 우오즈미 역의 영업을 재개한다.
  • 1948년
  • * 3월 1일 : 덴테쓰스마 - 덴테스아카시 구간의 가선 전압을 600V에서 1500V로 승압한다.
  • * 9월 30일 : 스마우라코엔 역을 일반역으로 승격시킨다.
  • * 10월 1일 : 휴지 중인 쓰루모리즈카 역을 폐지한다.
  • * 10월 21일 : 덴테쓰효고 - 덴테쓰스마 구간의 가선 전압을 600V에서 1500V로 승압시켜 전 구간의 전압이 통일된다.
  • * 12월 14일 : 오쿠라다니 - 히토마루마에 구간의 아카시타카조마에 역이 폐지된다. 오쿠라다니 역이 이설된다.
  • 1949년 4월 15일 : 특급 운전이 재개된다.
  • 1951년 10월 1일 : 휴지 중인 고시키야마 역을 폐지한다.
  • 1952년 8월 21일 : 휴지 중인 다이카이 역을 폐지한다.
  • 1957년 9월 18일 : 스마우라코엔 역이 이전된다. 스마우라 로프웨이가 개통된다.
  • 1961년 10월 1일 : 우오즈미 역을 덴테쓰우오즈미 역으로 개칭한다.
  • 1964년 6월 1일 : 우타시키야마 역을 폐지하고 300m 동쪽에 가스미가오카 역을 개업한다.
  • 1968년 4월 7일 : 고베 고속 철도를 경유하여 한큐 전철한신 전기 철도와의 상호 직통 운전이 개시된다. 덴테쓰효고 - 니시다이 구간이 하루 앞서 폐지된다.
  • 1974년 12월 1일 : 특급의 영업최고속도를 85km/h에서 90km/h로 높인다.
  • 1978년 12월 27일 : 니시다이 - 덴테쓰아카기 수산을 궤도법에 기초한 궤도로부터 지방철도법에 기초한 철도로 변경한다(덴테쓰아카시 이서 구간은 개통때부터 철도였다).
  • 1984년
  • * 3월 25일 : 특급의 영업최고속도를 100km/h로 향상한다(덴테쓰아카시 - 다카사고, 시카마 - 덴테쓰히메지 구간). 급행 운전을 휴지한다.
  • * 5월 5일 : 한큐롯코 역 구내에서 한큐 특급과의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 1985년 4월 22일 : 스마데라- 쓰키미야마 구간에서 한신우메다 행 한신 전동차가 탈선했다. 탈선한 차량은 구조상 결함이 발견되어 후에 폐차된다.
  • 1987년 12월 13일 : 덴테쓰타카사고 - 덴테쓰시카마 구간에서 특급의 영업최고속도를 100km/h로 향상하고, 이타야도역을 특급 정차역으로 설정한다. 통근특급 운전을 개시한다.
  • 1991년
  • * 4월 3일 : 아카시 시내 연속 고가화 공사가 완료된다. 덴테쓰아카시 역과 히토마루마에 역이 이전된다.
  • * 4월 7일
  • ** 일부 특급이 6량 1편성화된다. 통근특급을 S특급으로 운전을 개시한다. 아보시 선에 직통하는 열차가 폐지된다.
  • ** 덴테쓰시카마·덴테쓰시오야·덴테쓰타루미·덴테쓰아카시·덴테쓰우오즈미·덴테쓰소네·덴테쓰히메지 역을 '산요~'역으로 개칭한다.
  • ** 덴테쓰벳푸·덴테쓰타카사고·덴테쓰시카마·덴테쓰카메야마 역을 벳푸·다카사고·시카마·가메야마 역으로 개칭한다. '덴테쓰~'가 사라진 이유는 벳푸 철도나 다카사고 선 폐선 때문이었다.
  • ** 덴테쓰하야시자키 역을 하야시자키마쓰마에가이간 역으로, 혼조 역을 하리마초 역으로 개칭한다.
  • ** 특급의 영업최고속도를 히가시후타미 - 다카사고 구간에서 110km/h로 향상한다. 또한 마이코코엔 - 산요아카시 구간에서도 특급의 영업최고속도를 105km/h로 향상한다.
  • ** 특급은 니시모토마치·하나쿠마·다이카이 역을 통과하고 한신 전기 철도 본선의 니시나다 역은 산요 차량일 경우 모든 열차가 통과한다.
  • 1995년
  • * 1월 17일 :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전 구간이 불통 상태가 된다.
  • * 1월 18일 : 산요아카시 - 산요히메지 구간 운전이 재개된다.
  • * 1월 27일 : 가스미가오카 - 산요아카시 구간 운전이 재개된다.
  • * 1월 30일 : 다키노차야 - 가스미가오카 구간 운전이 재개된다. 다음날 히메지 - 다키노차야 구간에서 특급 운전이 재개된다.
  • * 2월 21일 : 히가시스마 - 스마데라 구간 운전이 재개된다.
  • * 3월 24일 : 이타야도 - 히가시스마 구간 운전이 재개된다. 이타야도 역은 지하역과 하행선을 사용했다.
  • * 4월 9일 : 스마데라 - 산요스마 구간 운전이 재개된다.
  • * 4월 19일 : 산요스마 - 스마우라코엔 구간 운전이 재개된다.
  • * 6월 16일 : 스마우라코엔 - 다키노차야 구간 운전이 재개된다.
  • * 6월 18일 : 니시다이- 이타야도 구간이 재하선으로 복구되어 전 구간이 재개통된다(단,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고소쿠나가타 - 신카이치 구간이 복구되지 않아 고소쿠나가타에서 회차 운행을 했다).
  • * 8월 13일 :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고소쿠나가타 - 신카이치 구간이 복구되고, 동시에 한신·한큐와 상호 직통 운전이 재개된다(단, 다이카이역은 큰 피해를 입어 1996년 1월 17일까지 전 열차가 통과했다).
  • 1998년 2월 15일 : 한큐 전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중지한다. 한신우메다 - 산요히메지 구간을 잇는 직통특급 운전을 개시한다. 동시에 한큐롯코까지 입선했던 산요 전기 철도 보통과 특급 직통 운전도 중지된다.
  • 2001년 3월 10일 : 직통특급을 제외한 전 열차가 한신산노미야 이동으로 직통 운전을 중지한다. 단, 한신산노미야 착발 열차는 한신오이시까지 회송 운전된다. 또한, 쓰키미야마역이 S특급 정차역이 된다.
  • 2004년 8월 21일 : 니시후타미역이 개업했다.
  • 2006년
  • * 3월 26일 : 산요히메지 역 개량 공사와 산요히메지 - 데가라 구간 노선 대체 공사 때문에, 이 구간이 종일 운휴하게 되어 산요덴테쓰 버스에 의한 대행 수송이 이루어졌다. 특급과 직통특급은 시카마 역에 정차하는 오전 중 하행 한 편을 빼고 전 열차가 데가라역에서 회차하였다.
  • * 10월 28일 : 심야 하행 열차가 산요히메지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고, S특급 정차역이 변경되었다. 니시다이역에 정차하는 대신 니시모토마치를 통과하게 되었다.
  • 2011년 3월 1일 : 역 구내 흡연 코너를 폐지하고, 모든 역을 전면 금연화하였다.
  • 2013년 2월 12일 : 아라이 역 부근에서 건널목 장애에 의한 탈선 사고 발생해, 열차 운전사와 승객 14명, 트럭 운전자가 중경상을 입었다.[36] 히가시후타미 역 - 시키마 역 간이 운행 중지. 다음 날도 다카사고 역 - 오시오 역 간이 운휴.[37]
  • 2014년 4월 1일 전 역에 역 번호를 도입.[38]
  • 2015년 6월 20일 : 니시신마치역이 고가화.[39]
  • 2020년 3월 14일 : 하행 S특급 정차역에 히가시스마역 추가

5. 각주·참고 문헌


  • 이마오 게이스케, 《일본 철도 여행 지도첩 - 전선·전역·전폐선》9 간사이 2, 신초샤, 2009년

참조

[1]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Neko Publishing 2002-07
[2] 웹사이트 http://www.sanyo-rai[...] Sanyo Electric Railway 2015-05-20
[3] 웹사이트 15 hurt in Japan train-truck collision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Ltd. 2013-02-13
[4] 웹사이트 http://www.jiji.com/[...] Jiji Press Ltd. 2013-02-13
[5] 서적 阪神電鉄のひみつ PHP研究所
[6] 웹사이트 鉄道情報/路線図・駅情報/山陽電車 http://www.sanyo-rai[...] 山陽電気鉄道 2021-05-17
[7] 뉴스 山陽電鉄とは 準大手私鉄、大阪―姫路でJRと競合 https://www.nikkei.c[...] 2023-01-27
[8] 웹사이트 兵庫県鉄道路線図 http://www.my9.jp/v2[...] ひまわりデザイン研究所 2021-05-17
[9] 웹사이트 振替輸送のご案内 http://www.sanyo-rai[...] 山陽電気鉄道 2021-05-17
[10] 웹사이트 振替・代行輸送のご案内 https://trafficinfo.[...] JR西日本 2023-02-23
[11] 보고서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2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2-03-03
[12] 문서 毎月1日・15日のみ停車。廃止時期不明
[13] 문서 1943年休止、1946年廃止
[14] 문서 1913年 - 1948年の夏期開設
[15] 문서 震災時仮駅
1995年6月16日 - 1996年3月11日

[16] 보도자료 -山陽・阪神・近鉄合同企画-「山陽・阪神・近鉄 私鉄3社車庫巡りツアー」〜山陽姫路駅から近鉄奈良駅まで直通イベント列車が初走行!〜 http://www.kintetsu.[...] 近畿日本鉄道 2013-12-21
[17] 웹사이트 『姫路〜奈良 直通列車で行く山陽・阪神・近鉄 私鉄3社車庫巡り』開催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3-02-25
[18] 보도자료 奈良~姫路 直通列車で行く!近鉄・阪神・山陽 横断ツアー http://www.kintetsu.[...] 近畿日本鉄道 2014-05-22
[19] 웹사이트 『奈良〜姫路 直通列車で行く!近鉄・阪神・山陽 横断ツアー』開催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4-07-15
[20] 웹사이트 2025年2月22日(土)に全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新たに別府駅が直通特急および特急の停車駅になります〜 https://www.sanyo-ra[...] 2024-12-05
[21] 보도자료 3月14日(土)に全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www.sanyo-ra[...] 山陽電気鉄道 2020-01-02
[22] 서적 日本鉄道旅行歴史地図帳 新潮社
[23]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 {{NDLDC|2955443/8}} 国立国会図書館 1923-08-23
[24] 간행물 地方鉄道駅名改称 {{NDLDC|2955582/13}} 国立国会図書館 1924-02-06
[25] 간행물 (四)軌道合併 {{NDLDC|1022003/100}[...] 国立国会図書館
[26] 간행물 合併 {{NDLDC|1022006/12}} 国立国会図書館
[27] 서적 鉄道総合年表1972-93 中央書院
[28] 서적 鉄道要覧 鉄道図書刊行会
[29] 서적 山陽電気鉄道百年史 山陽電気鉄道株式会社 2007-11
[30] 뉴스 被災地の鉄道この1年 交通新聞社 1996-01-17
[31] 뉴스 滝の茶屋-霞ヶ丘間が復旧 交通新聞社 1995-02-01
[32] 잡지 阪神大震災から1年 鉄道ジャーナル社 1996-04
[33] 뉴스 山陽電鉄 須磨-須磨浦公園間が再開 交通新聞社 1995-04-19
[34] 잡지 交友社 1995-08
[35] 뉴스 阪神山陽電鉄 直通特急の運転開始 交通新聞社 1998-02-17
[36] 뉴스 特急とトラック衝突、2両が脱線…重軽傷16人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3-02-12
[37] 뉴스 現場踏切で遮断棒折損3年で6件 山陽電鉄「特に危険という認識ない」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west 2012-02-13
[38] 보도자료 全駅に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www.sanyo-rai[...] 山陽電気鉄道 2014-02-07
[39] 보도자료 山陽電鉄本線(明石市内)連続立体交差事業(第2期) 西新町駅付近(明石川〜林崎松江海岸駅東方)を高架に切替え 〜平成27年6月20日始発から〜 http://www.sanyo-rai[...] 山陽電気鉄道 2015-03-19
[40] 보고서 新規事業採択時評価結果(令和4年度新規着工準備箇所)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2-03-27
[41] 서적 일본 철도 여행 지도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